안녕하세요! 오늘은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에서 일하면서 매일 사용하는 PM 실무 영어 표현을 공유해드릴게요. 특히 글로벌 팀과 협업하시는 분들이 꼭 알아두시면 좋을 표현들을 준비했습니다. 😊
1. Scope creep (범위 확장) 🔄
이럴 때 써요!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요구사항이 자꾸 늘어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사용해요. 특히 애자일 환경에서 스프린트 중간에 갑자기 기능이 추가될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이에요.
실제 대화 예시: 나: "I'm concerned about scope creep in this sprint." 동료: "You're right. Let's review the original requirements and push these new features to the next sprint."
실전 활용 💡
"We need to manage scope creep carefully to meet our deadline" (데드라인을 맞추려면 범위 확장을 잘 관리해야 해요)
"Let's prevent scope creep by clearly documenting our MVP features" (MVP 기능을 명확히 문서화해서 범위 확장을 방지해요)
2. Pain point (페인 포인트) 🎯
이럴 때 써요!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이나 문제점을 이야기할 때 사용해요. 제품 기획 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표현 중 하나예요.
실제 대화 예시: 나: "Our user research identified several key pain points in the checkout process" 동료: "Yes, especially the multiple login requirements seem to be a major pain point"
실전 활용 💡
"We need to address this pain point in the next release" (다음 릴리즈에서 이 페인 포인트를 해결해야 해요)
"This feature directly addresses our users' biggest pain point" (이 기능은 사용자들의 가장 큰 페인 포인트를 직접적으로 해결해요)
3. Trade-off (트레이드오프) ⚖️
이럴 때 써요! 두 가지 선택 사항 사이에서 결정을 내려야 할 때, 특히 하나를 얻기 위해 다른 하나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해요.
실제 대화 예시: 나: "There's a trade-off between adding more features and maintaining simplicity" 동료: "I agree. Let's focus on core features for now"
실제 상황별 활용법 🎯
상황 1: 스프린트 리뷰 미팅에서 "We've identified several pain points in our current flow. However, fixing all of them would cause significant scope creep. We need to make some trade-offs and prioritize the most critical issues."
상황 2: 제품 기획 회의에서 "The main pain point for enterprise users is the lack of bulk editing features. There's a trade-off between implementing this now and delaying our mobile app release. We need to be careful about scope creep."
마무리 🎉
이러한 표현들은 PM으로 일할 때 정말 자주 사용되는 필수 표현들이에요.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, 실제 업무에서 한두 번만 써보시면 자연스럽게 사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!
다음 시간에는 사용자 리서치 관련 표현들을 알아볼게요.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